국내 화장품 기술수준 꾸준히 향상, 제형수준 선진국과 대등
국내 화장품 기술수준 꾸준히 향상, 제형수준 선진국과 대등
  • 윤강희 jangup@jangup.com
  • 승인 2018.10.10 10: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선진국 대비 86.8% 수준 도달, 소재‧평가 기술 수준은 여전히 격차

글로벌코스메틱연구개발사업단 조사 결과 국내 화장품 기술수준이 꾸준히 향상되어 이제는 선진국 대비 86.8% 수준에 도달하였고, 기술격차도 점차 단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코스메틱연구개발사업단(단장 박장서, 이하 ‘사업단’)은 2014년도에 이어 그동안의 국내 화장품 기술수준의 변화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R&D 지원방향 결정에 활용하고자 국내 화장품 기술수준 조사를 올해 다시 실시하였다.

사업단 조사 결과 선진국 대비 국내 화장품 기술수준은 2007년  67.4%, 2014년 80.1%에서 2018년에는 86.8%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격차는 2014년 4.8년에서 2.4년으로 단축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화장품 기술을 소재, 제형, 평가, 용기용품의 4개 분야로 나누어 실시한 이번 조사 결과 우리나라의 기술수준은 제형기술이 89.6%로 가장 높고, 소재기술이 84.3%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기술은 선진국 대비 84.7%, 용기용품기술은 88.9%로 조사되었다.

화장품 기술수준은 4개 분야 모두 2014년도에 비해 향상되었으며, 제형기술의 상승폭이 9.1%p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재기술은 84.3%(기술격차 3.1년)로 2014년도에 비해 5.4%p 상승하였으며, 기술격차는 2.7년 감소하였고, 제형기술은 89.6%로 2014년도에 비해 9.1%p 상승하여 기술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기술격차는 1.9년 감소하였다.

평가기술은 84.7%(기술격차 2.7년)로 2014년도에 비해 기술수준은 3.4%p 상승하고 기술격차는 1.8년 감소하였으며, 용기용품기술은 88.9%(기술격차 2.0년)로 2014년도에 비해 기술수준은 8.9%p 상승하고 기술격차는 3.7년 감소하였다.

특히 주목할 만한 변화는 제형 분야 2개의 세부기술은 한국이 세계 최고기술 보유국으로 평가되었다는 점이다. 즉, 불안정 효능성분의 안정화 기술과 사용감 및 사용성 차별화 제형기술 수준은 한국이 세계 최고로 평가되었다.

불안정 효능성분의 안정화 기술의 발전에는 기능성 화장품 허가제도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능성 화장품 허가의 취득을 위해 항산화 효과가 높은 피부효능성분들(비타민A 유도체, 비타민C 유도체, 이데베논 등)을 안정화하는 기술개발이 이루어졌으며, 이제는 글로벌 기업으로부터 피부효능성분의 안정화기술 의뢰를 받는 수준까지 발전하였다는 것이다.

사용감 및 사용성 차별화 제형기술은 특히 에어쿠션과 같이 소비자 니즈에 맞춘 차별화 상품 개발에서 국내 기업들이 앞선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기업들이 계속해서 신제품을 원하는 까다로운 국내 소비자에게 차별화된 제형을 제공하기 위하여 경쟁적으로 제품을 개발한데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의 화장품 기술이 모든 분야에서 꾸준히 향상된 것은 긍정적인 결과이나, 개별 기술별로는 아직 격차가 존재하고 있어 지속적이고 균형 잡힌 R&D 투자와 기술개발은 여전한 과제로 남아있다.

특히, 차별화된 화장품 개발의 원천이 되는 소재기술이나 새로운 효능‧컨셉의 화장품을 만들 때 과학적 기반이 되는 평가기술은 아직 선진국의 84~85% 수준에 머물고 있어 지속적인 기술발전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세부 기술 간 불균형은 지속적인 산업 발전에 저해요소가 되므로, 앞으로 R&D 투자는 미흡한 원천기반 기술 개발에 선택과 집중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현재는 중요해보이지 않으나 앞으로 산업 판도를 극적으로 바꿀 수 있는 기술 패러다임 변화에 선제 대응하기 위한 미래지향적 혁신기술 개발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

한국의 화장품 기술수준의 꾸준한 발전은 그동안 글로벌코스메틱연구개발사업단을 위시한 국가 차원의 화장품 R&D 지원과 기업 자체의 R&D 투자와 연구개발 노력이 어느 정도 성과를 보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의 지속적인 R&D 지원전략이 필요함을 말해주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