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사드배치 경제보복에 불확실성 최고조
中 사드배치 경제보복에 불확실성 최고조
  • 전진용 bretislav@jangup.com
  • 승인 2017.03.13 16: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입화장품 추적관리시스템&외국인력 쿼터제 시행
 

올해도 중국과의 외교문제가 화장품 산업으로 불똥이 튀고 있다.

지난 2월말 중국정부가 중국인들의 한국 단체관광을 전면 금지했다는 보도를 시작으로 전방위적으로 경제보복이 진행되면서 화장품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먼저 중국 관광객의 감소는 국내 화장품 내수시장에도 악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중국인들이 몰려들던 명동, 홍대, 신촌 등의 주요상권은 당장은 아니더라도 4월부터 중국인들의 수가 눈에 띄게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들 주요상권의 중국인 매출 비중은 50%가 넘는 경우가 허다해 매출에 손실이 발생하는 것은 불보듯 뻔한 상태다. 당장에 중국인 관광객이 줄어든 상태는 아니지만 중국정부의 경제보복 정책이 전방위적으로 강력하게 진행되면서 4월부터는 실질적인 충격으로 다가올 전망이다.

면세점의 경우도 비상사태다. 현재 면세점 매출의 70%를 담당했던 중국관광객들의 감소는 직격탄이 될 전망이다. 화장품의 경우 면세점내 비중이 가장 높은 품목이라는 점에서 더욱 상황이 심각한 상태다.

여기에 중국정부의 수입화장품 관리강화 정책이 추가되면서 한국의 화장품 수출도 위축되고 있다. 최근 아모레퍼시픽 라네즈 3개 제품에 대한 수입불허 조치는 이런 불안감을 더욱 고조시킨 상황이다. 중소기업 뿐 아니라 국내 1위 글로벌 화장품 기업에까지 보이지 않는 제재가 가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심각한 분위기다.

중국정부는 지난 3월 1일 ‘수입화장품 국내 수화인 등록, 수입기록 및 판매기록 관리규정’에 의거해 수입화장품 추적관리시스템을 시행했다. 이는 한국화장품 업체에 대한 제재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의 불확실성은 더욱 높아진 상황이다.

중국정부의 수입화장품 추적관리시스템은 외국에서 중국으로 들어오는 화장품에 대한 수입과 판매기록 작성을 의무화하는 조치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즉시 처분과 함께 해당 기업에 대한 책임을 묻도록 한 것이다.

만약 허위정보를 제공한 경우 등록이 거부되고, 등록된 정보가 정확하지 않거나 완벽하지 않은 경우 수정·보완해야 하며 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을 경우 등록 번호가 취소될 수도 있다.

이러한 추적관리시스템은 상품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불합격 상품의 신속한 리콜과 해당 기업에 대한 책임 추궁을 위한 조치로 분석되고 있다.

오는 중국정부가 4월부터 시행되는 ‘외국인력 쿼터제’도 또 다른 형태의 비관세 장벽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는 중국에 진출한 한구기업의 파견인력 규제 등 한국에 대한 비관세 장벽 강화 방안으로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난 10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기존의 ‘외국인 입국 취업허가제’와 ‘외국 전문가 중국 근무허가제’를 개정·통합한 ‘외국인 중국근무 허가제’를 오는 4월부터 전국적으로 본격 시행한다.

외국인 중국근무 허가제는 중국에서 근무하는 외국인을 △외국고급인재(A급) △외국전문인재(B급) △외국보통인원(C급) 3등급으로 구분해 차별적으로 관리하는 제도다. 30여 가지 기준에 점수를 매겨 총점이 85점 이상일 경우 A급을 받을 수 있는데, 이에 해당하는 기준은 중국 경제사회 발전에 필요한 과학자, 전문특수인재 등이다. 60점 이상인 B급은 중국에서 석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우수 졸업생 혹은 외국인 교수 등이다. 한국 기업의 파견 인력 등은 C급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 C급은 중국국가정책 규정에 근거하여 쿼터관리제를 적용받게 된다.

이는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인력 관리에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중국현지화에 힘을 기울여 온 국내 화장품 기업들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편 중국의 경제보복 정책에 가장 큰 타격을 입고 있는 곳은 화장품 중소 제조 및 수출기업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마스크팩 등을 생산하는 중소 OEM 기업의 경우 수주물량이 취소되거나 생산 중단되는 경우가 많아 많게는 매출이 50%이상 줄어든 업체들이 늘고 있다. 중국시장에 대한 기대감으로 무리하게 투자해 생산라인을 확대한 기업의 경우는 이중고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모 중소 OEM 기업 임원은 “지난해에 비해 수주 물량이 반토막이 난 상태며, 특히 중국 관광객 감소를 우려한 국내 브랜드숍 등이 생산물량을 크게 줄이고 있어 큰 경영난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화장품수출기업 대표는 “현재로서는 중국정부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며 그들이 제시하는 조건에 완벽하게 대응하는 방법밖에는 없는 것 같다”며 “중국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동남아, 남미, 유럽 등으로 활로를 모색하고는 있지만 중국으로 인한 타격을 줄이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고 전했다. 또한 “이러한 중국의 보복성 정책에 대응할 수 있는 정부차원의 지원정책도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