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크업 국가자격증 신설 촉구
메이크업 국가자격증 신설 촉구
  • 김진희 jini@jangup.com
  • 승인 2013.08.22 13: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메이크업단체협의회 공개토론회 개최

 
“메이크업도 헤어, 피부 등 다른 분야와 동등한 수준의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며, 전문성을 위해 메이크업 국가자격 제도 신설을 촉구한다”

헤어, 피부와 더불어 메이크업도 국가기술 자격제도 신설과 함께 불합리한 공중위생법 등 법 개정에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13일 열린 ‘메이크업 국가기술 자격증 신설을 위한 공개토론회’에서 제기됐다.

이번 행사는 7월 12일 발족한 한국메이크업단체협의회의 주최로 최근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메이크업의 미용업 분리와 국가 자격신설에 대한 메이크업 업계의 의견과 합리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이숙연 한국메이크업교수협의회장은 “뷰티산업과 미용분야의 활성화를 위해 헤어, 피부, 메이크업, 네일의 4개 영역의 균형 잡힌 발전과 제도적 뒷받침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연숙 한국메이크업디자인학회장은 “미용사 자격증의 불합리함으로 인해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메이크업 종사자들은 우리나라에서 누려야 할 직업선택의 권리를 누리지 못하고 있다. 메이크업도 다른 분야와 동등한 수준의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며, 메이크업 국가자격 제도 신설을 촉구하는 바”라고 말했다.

최윤영 한국분장예술인협회장은 “메이크업 국가자격증 신설은 메이크업 종사자 뿐만 아니라 공무원들도 알고 있는 사실. 이는 메이크업 종사자로써의 당연한 권리이며 자격제도 아래 인정받아야 한다. 현재 국내 메이크업 수준과 위상에 걸 맞는 자격증을 신설해 달라”고 강조했다.

오세희 한국메이크업협회장은 “뷰티 산업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메이크업 산업의 선진화를 위해서는 공인된 메이크업 국가자격제도의 신설이 시급하다. 이 같은 문제를 언론과 인터넷 등에 노출, 여론 형성을 통해 정부와 사회 등에 각인시키기 위해 움직일 것”이라고 전했다.

안미려 한국메이크업전문가직업교류협회장은 “1961년도에 제정된 ‘이용사 및 미용사법’에 의해 메이크업이 독립된 영역으로 인정받지 못하며 ‘메이크업’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민간자격증조차 발급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 메이크업의 전문성을 표현할 언어를 잃어버렸다”며 “메이크업 종사자들이 당당하게 전문 직업인으로서 인정받고 자긍심을 회복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날 토론회는 메이크업단체협의회 소속 5개 단체장과 장진미 교육실장(국제뷰티산업진흥재단·분장예술인협회 부회장), 김정희 교수(원광대·메이크업디자인학회 상임이사), 김채호 부사장(MBC뷰티스쿨·메이크업전문가직업교류협회 수석부회장), 조고미 교수(호남대·메이크업교수협의회 수석부회장), 오수나 교수(동원대·메이크업협회 이사)가 각각 메이크업의 국가기술자격제도 필요성과 교육현황, 여론조사 방안, 기대효과 등을 알아보는 발표시간을 가졌다.

주제 발표자로 나선 패널들은 대부분 현 미용사의 업무범위를 규정한 공중위생관리법상의 제도적 문제점과 메이크업 업권 보호와 활성화에 대한 개선안, 국가기술자격제도 신설에 한 목소리를 냈다. 특히 메이크업 종사자들이 전문 직업인으로서 확실한 위치를 인정받아야 한다는 명제 하에 메이크업 분야를 일반 미용업에서 반드시 분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메이크업단체협의회는 8월 말 이번 토론회에서 나온 의견을 정리해 주무부서인 보건복지부를 방문하고 전국 단위의 여론조사와 대국민 홍보활동을 통해 메이크업 국가자격신설의 여론형성을 일으킬 방침이다.

김진희 기자 jini@jangup.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