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보건산업 수출 269억 달러로 지속 성장 전망
2023년 보건산업 수출 269억 달러로 지속 성장 전망
  • 윤강희 jangup@jangup.com
  • 승인 2022.12.08 09: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진흥원, 2022년 보건산업 수출 동향 및 2023년 수출 전망치 발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직무대행 김영옥, 이하 진흥원)은 2022년 보건산업 주요 수출 성과 및 2023년 수출 전망을 발표하였다.

2022년 보건산업(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수출은 전년대비 0.3% 증가한 255억 달러로 예상된다. 상반기 코로나 백신‧치료제 및 진단제품 수요 증가에 힘입어 역대 반기 최고실적을 기록했으나, 하반기 본격적 엔데믹화로 방역물품(백신·진단제품)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의약품은 바이오의약품(바이오시밀러)과 백신 등으로 전년대비 수출 증가(+23.9%)가 예상되나, 의료기기 및 화장품은 코로나 엔데믹 본격화, 대외 여건 악화 등으로 수출 감소(의료기기 △7.3%, 화장품 △10.1%)가 예상된다.

2022년 보건산업 월평균 수출액은 20.8억 달러로 2019년 9월 이후 33개월 동안 플러스 성장을 이어가다, 올해 6월 이후 마이너스 성장으로 전환되었다. 2023년 보건산업 수출은 269억 달러로 2022년에 비해 5.4% 증가세를 보이며,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세부 산업별로는 의약품 수출이 전년대비 15.5% 증가하여 101억 달러, 화장품 88억 달러(+6.7%) 의료기기 80억 달러(△6.2%) 순으로 예상된다. 지역별 수출은 아시아/퍼시픽(136억 달러, +5.8%), 유럽(68억 달러, +6.3%), 북미(42억 달러, +4.2%) 등 순이며, 아시아/퍼시픽으로의 수출이 절반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팬데믹으로 인해 수출이 증가했던 진단용 제품은 수출 감소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며, 바이오시밀러, 톡신 등 항병원생물성 의약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점유율(중분류 기준) 23.8%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 의약품 수출은 전년대비 15.5% 증가한 101억 달러로 역대 최초 단일품목 기준 100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말부터 급증한 백신 및 치료제 수출은 점차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며, 의약품 전체 수출은 바이오의약품(바이오시밀러)의 지속적인 수요로 안정적인 성장세가 기대된다.

의료기기는 2023년 의료기기 수출은 전년대비 6.2% 감소한 80억 달러 전망된다. 초음파 영상진단기, 임플란트, 방사선 촬영기기 등 기존 주력품목은 빠른 회복에 힘입어 코로나 이전(’19년) 수출을 상회할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 세계적으로 코로나 관련 제품의 수요가 감소하며, 국내 진단용 시약 수출은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화장품 산업은 2023년 화장품 수출은 전년대비 6.7% 증가한 88억 달러로 2022년 ‘수출 감소’에서 ‘수출 증가’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대 화장품 수출국인 중국에서 2022년 수출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 및 도시 봉쇄령 완화로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탈중국’ 전략으로 동남아지역 및 북미시장 이동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진흥원 한동우 보건산업혁신기획단장은 “2023년 보건산업 수출은 의약품의 꾸준한 수출 증가와 함께 화장품 수출이 플러스로 전환되며 전년대비 5.4% 증가한 269억 달러를 달성 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코로나19 이후 우리 보건산업은 급격한 수출 급증 등으로 성장 가능성을 입증하였으나, 최근 취약해진 경제 여건, 전세계 공급망 불안정, 미국, 중국 등에 대한 높은 수출 의존도, 주요 교역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정책 등과 같은 외부 충격에 더욱 민감할 수 있으며, 이에 진흥원은 보건산업 분야 수출입 정보 제공, 수출 상위 국가 중심 보건산업에 대한 해외인식도 조사, 공급망 재편에 따른 보건산업 영향 분석, 수출 애로사항 등 업계의 지속적인 의견수렴 등을 통해 산업계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정부정책 지원 등에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향후 우리 보건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글로벌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 정부-기업 간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과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