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뷰티시장, ‘건강하고 착한’ 부가 가치에 주목해야”
“미래 뷰티시장, ‘건강하고 착한’ 부가 가치에 주목해야”
  • 윤강희 jangup@jangup.com
  • 승인 2019.06.20 10: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한국 뷰티&퍼스널케어 시장 세계 9위로 성숙기 접어들어

세계적인 시장 조사 기업인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 (Euromonitor International, 한국지사장 고은영)은 2018년 뷰티&퍼스널케어 시장 분석 결과와  향후 5년 뒤인 2023년까지의 시장 규모 예측을 발표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18년 글로벌 뷰티&퍼스널케어 시장 규모는 작년 대비 약 6% 증가한 4,880억 달러로 집계됐다. 유로모니터는 유럽과 북미권의 시장 정체가 있었지만 중남미의 경제 부활과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지속적 성장을 뷰티&퍼스널케어 시장 성장의 주요 이유로 꼽았다.

유로모니터는2018년 한 해를 프리미엄과 매스 제품이 고르게 성장한 해로 평가했다. 뷰티 시장의 프리미엄화는 여전히 강세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로모니터는 클린 라벨, 비건 제품과 같은 부가 가치들이 프리미엄 뷰티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에 영향을 끼치면서 판매량에서 매스 제품 판매량과 그 격차가 좁혀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프리미엄 뷰티&퍼스널케어는 글로벌 뷰티 시장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뷰티 카테고리 중 하나로, 2017년 대비 8.1%의 성장을 기록하며 지난 5년동안 연평균 3.5%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한나 시몬스 (Hannah Symons) 유로모니터 뷰티 부문 글로벌 리서치 총괄은 “2018년 뷰티&퍼스널케어 시장은 프리미엄과 매스 제품 모두 동유럽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성장했는데, 이는 2012년 이후 처음으로 동반성장한 해다. 프리미엄급 가치와 철학, 제품을 양상할 수 있는 새로운 디지털 시대의 도래가 매스 뷰티 브랜드의 성장 돌파구를 만들어냈다”고 밝혔다. 특히 매스 제품이 집중적으로 포진된 온라인 유통 채널의 눈부신 성장 역시 매스 제품의 양적 성장에 한 몫을 하였는데, 뷰티&퍼스널케어의 온라인 거래 비중이 2018년 10%를 돌파, 비(非) 매장 기반 주요 채널인 직접 판매 (direct selling, 네트워크/방문 판매) 의 비중을 처음으로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아시아 시장이 여전히 강세로, 아시아 뷰티&퍼스널케어 시장은 작년 대비 7.5% 성장한 1,630억 달러 규모로 집계됬다. 이는 세계 1/3 규모이다. 기존 프리미엄 뷰티 주요 국가로 여겨지던 중국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 태국도 해당 시장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작년대비 1% 성장한 9위인 134억 6500억 달러로  집계 되었다.

한국 뷰티&퍼스널케어 시장조사를 진행한 홍희정 유로모니터 뷰티&패션 부문 수석 연구원은 한국에서는 데오드란트와 영유아 제품, 향수 카테고리가 지난 5년간 가장 성장했다고 밝혔다. 홍 수석 연구원은 한국 뷰티 시장이 성숙기에 진입함에 따라 성장세가 다소 떨어졌지만, 향수를 비롯한 일부 시장을 위주로 소폭 성장을 이어나가고 있다고 분석하며, 특히 자신에게 꼭 맞는 제품을 찾으려는 적극적인 소비자층이 월등하게 증가하다 보니 다양한 선제품, 맞춤형 향수 등 기능성 ∙맞춤형 시장의 성장이 두드러진다고 전망했다. 

미래 한국의 뷰티&퍼스널케어 시장은 기존 미국, 프랑스 등 선진 뷰티 강국과 같은 수순을 밟으며, 다양한 소비자들을 고려한 ‘건강하고 착한’ 뷰티 시장으로의 발전을 예상했다. 유로모니터는 한국 뷰티 시장의 미래 성장률은 향후 5년간 0.5%에 머무를 것이라 예상했지만,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는 제조사들의 행보에 주목하며 성분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을 기회로 내다봤다. 홍 연구원은 “내 피부는 ‘내가 제일 잘 아는 전문가’ 라는 인식이 밀레니얼 소비자 사이에서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피부 타입을 세세히 분석하여 솔루션을 제공하는 제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고 밝혔다.

이어 홍 수석 연구원은 “한국 시장은 규모와 성장률 면에서는 뷰티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지만, 다양한 소비자를 아우를 수 있는 제품군의 범위와 소비자 교육, 부가 가치 (value added) 측면에서는 아직 가야할 길이 멀다. 성장이 주춤해진 현 시점에서는 단순 시장 확장 보다는 ▲클린 라벨 ▲비건 ▲안티 타부 ▲마이크로바이옴* 등 보다 다양한 소비자를 아우르는 이른바 ‘건강하고 착한’  가치들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며, 이를 고려하면 한국 시장을 넘어 선진국 시장에서 K뷰티의 선전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글로벌 뷰티 시장에서 K뷰티 위상이 높아지며 단순히 독특한 콘셉트로 그치는 것이 아닌,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매김 하며 독자적 노선을 걷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홍희정 수석 연구원은 “2017년 하반기부터 2018년까지 꾸준히 대두되던 J 뷰티의 위협은 한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에서의 K뷰티 위상을 꺾지 못했다. 이는 K-뷰티 브랜드가 글로벌 뷰티 시장에서 독자적인 노선을 가기 시작했음을 보여주고 있는 긍정적인 신호다”며, “과거 K뷰티 특유의 멀티-스텝 스킨케어로 인기를 끌며 이를 필두로 스킨케어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했다면, 점차 세분화되는 피부타입과 소비자 취향을 반영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시간을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춰, 필요한 기능들을 한번에, 적절하게 제공해주는 이른바 ‘똑똑한’ 뷰티 제품을 선호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